본문 바로가기

경제

사우디의 석유 감산, 부동산 2차 하락으로 이어질까?

사우디아라비아가 석유 생산을 대폭 줄이기로 결정했습니다. 이로 인해 국제 유가가 상승하고 있는데요. 유가 상승은 미국의 인플레이션과 금리 인상을 부추기고, 경기 둔화를 가속화 할 수 있습니다. 물가를 잡기 위해 지속적으로 노력을 해왔던 미국은 그 동안 사우디에게 감산을 미루거나 취소하라고 요청했지만, 사우디는 미국을 배신하고 감산을 선택했습니다.

 

 

 

 

왜 사우디는 미국의 요구를 거절한 것일까요?

사우디의 석유 감산 결정에는 여러 가지 이유가 있습니다.

  1. 첫번째, 세계 경제의 불확실성과 금리 인상에 따른 석유 수요 감소를 예상하여 유가 폭락을 막기 위한 선제 조치입니다. 사우디는 2008년 금융위기 때 유가가 급락하면서 큰 타격을 입었습니다. 당시와 같은 상황을 피하기 위해 이번에 선제 대응에 나선 것으로 보입니다.

  2. 두번째, 사우디의 재정 흑자를 유지하고 탈석유 시대를 대비한 미래 산업에 투자하기 위한 재원 확보입니다. 사우디는 석유 의존도를 낮추고 신재생에너지, 인공지능, 바이오 등 미래 산업에 투자하고 있는데 이를 위해서는 막대한 자금이 필요합니다. 따라서 유가를 높여 재정 여력을 확보하려는 것으로 해석됩니다.

  3. 세번째, 미국과의 관계 악화와 러시아와의 동조로서의 정치적 전략입니다. 사우디와 미국은 전통적인 안보 동맹이었습니다. 하지만 바이든 행정부는 '반인권적 지도자' 라고 하는 무함마드 빈 살만 왕세자와의 관계를 얼어붙게 했습니다. 미국과 사이가 틀어진 사우디는 러시아와 석유 시장에서 협력하는 관계로 발전했습니다. 사우디는 미국과의 디커플링과 러시아와의 동조로서 자신의 입지를 강화하려는 것으로 보입니다.

 

사우디의 석유 감산, 어떤 영향 발생할까?

결국 사우디의 석유 감산 결정은 세계 경제에 큰 영향을 줄 것입니다. 유가 상승은 인플레이션과 금리 인상을 부추기고, 경기 둔화를 가속화 할 수 있습니다. 우리나라는 석유 수입국으로서 유가 상승에 취약합니다. 석유 수입에 의존도가 매우 높은 나라입니다. 석유 수입비중은 2019년 기준 25.8%로 세계에서 4번째로 높습니다.

  • 석유 가격이 오르면 수입액이 증가하고,
  • 무역수지와 경상수지에 부정적인 영향을 줍니다.
  • 또한 석유 가격 상승은 국내 생산 및 소비에도 영향을 미칩니다.
  • 석유는 제조업과 운송업 등 다양한 산업의 원료와 에너지원으로 사용됩니다.
  • 석유 가격이 오르면 생산비용이 증가하고,
  • 이는 소비자 가격에 반영됩니다.
  • 따라서 인플레이션을 부추기고, 소비심리를 악화시킵니다.

 

 

사우디의 석유 감산, 우리나라 부동산과 무슨 상관?

무엇보다 사우디의 감산은 크게 하락한 부동산의 가격을 추가로 하락 시킬 수 있는 요인이기도 합니다.

  • 사우디와 OPEC+의 석유 감산은 유가 상승으로 이어지고,
  • 유가 상승은 생산자 물가 지수 상승으로 이어지며,
  • 생산자 물가 지수는 소비자 물가 지수를 선행하기 때문에
  • 결국 석유 감산은 최종적으로 소비자 물가 지수가 상승하게 되는 요인이 됩니다.

 

그 동안 미국은 인플레이션을 잡기 위해 기준 금리를 지속적으로 올려왔고, 최근에는 기준 금리를 올리는 것을 멈추려는 모습을 보였습니다. 하지만 사우디의 석유 감산으로 인해 미국이 소비자 물가를 잡기 위해 다시 금리를 인상시키려고 한다면 우리나라의 역시 기준 금리를 자연스럽게 올릴 수밖에 없습니다.

  • 금리가 오르면 주택담보대출의 비용이 증가하고,
  • 대출 원리금 상환액도 늘어납니다.
  • 이는 주택 구매자들에게 부담을 주고, 매수 심리를 위축시게 되죠.
  • 그 동안 미국의 지속적인 금리 인상으로 인해 대한민국 부동산 가격은 지속적으로 하락을 해왔습니다.

 

최근 2023년 2월을 기점으로 반값 아파트들이 일부 거래가 되면서 부동산 가격이 반등하는 듯한 모습을 보이고 있습니다만, 미국이 추가적으로 금리를 인상한다면 우리나라 역시 기준 금리를 올릴 수밖에 없을 것 입니다. 이럴 경우 이미 크게 하락했던 우리나라 부동산의 가격이 2차 하락으로 이어질 가능성이 높습니다.

 

물론 한국 경제 상황이 매우 침체되어 있을 뿐만 아니라 그 동안 부동산 경기 위축으로 인해 프로젝트 파이낸싱(PF) 문제도 발생할 우려가 있는 만큼 한국은행이 기준 금리를 올리지 않을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습니다.

 

하지만 우려되는 것은 부동산 2차 하락의 가능성이 더 크다 라는 점이죠.

 

 

 

내연기관차의 구원투수, e퓨얼이란?

유럽 연합(EU)은 2035년부터 내연기관 신차 판매를 금지하는 법안을 통과시켰습니다. 이는 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EU의 목표인 2050년까지 탄소중립을 달성하기 위한 조치라고 볼 수 있죠. 따라서,

footballline01.tistory.com

 

 

미국의 도청 기술 수준은 어느 정도일까?

미국의 도청 기술은 상상을 불허할 정도로 발달하고 있습니다. 미국은 자국의 이익을 위해 동맹국과 적국을 가리지 않고 상대국의 정보를 수집하여 활용하고 있죠. 미국의 국가안보국(NSA)은 전

footballline01.tistory.com

 

'경제' 카테고리의 다른 글

도시가스 수소혼입, 탄소중립의 새로운 열쇠  (0) 2023.05.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