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유용한 정보

공복에 찬물을 마시면 안되는 이유

여름이 되면 더운 날씨에 시원한 찬물 한 잔이 생각납니다. 하지만 아침에 일어나서 공복에 찬물을 마시는 것은 건강에 좋지 않다고 합니다. 왜 공복에 찬물을 마시면 안되는지, 그리고 어떤 물을 마시는 것이 좋은지 알아보겠습니다.

 

 

 

공복에 찬물을 마시면 몸에 어떤 일이 일어나나요?

 

찬물을 갑자기 많이 마시면 몸속 자율신경계에 과도한 자극이 가해져 혈관이 수축하고 심장이 불규칙하게 뛸 수 있습니다. 우리 몸은 황급히 체온 관리를 위해 비상 상태에 돌입하지만 결국 체온이 떨어질 수밖에 없습니다. 이 과정에서 면역력이 저하되기도 합니다.

 

특히 찬물을 마시면 체온이 갑자기 떨어져서 폐의 기능이 저하될 수 있습니다. 폐는 체온을 조절하는 역할을 하기 때문에 체온이 낮아지면 폐의 저항력이 약해져 감기나 기관지염 등의 호흡기 질환에 취약해질 수 있습니다. 또한 목과 기관지의 혈관이 수축하게 되어 혈액 순환에 지장을 줄 수 있는데 혈액 순환이 원활하지 않으면 산소 공급이 부족해져 폐의 건강에 좋지 않습니다.

 

여기에 찬물은 인체내에 흡수되기보다는 장을 자극하는 역할을 하는데요. 그래서 변비가 있으신 분들에게 아침 공복에 찬물을 드시라고 하는 이유 역시 대장을 자극하여 변비를 해소하기 위한 목적이 있습니다.

 

하지만 체질적으로 몸이 차가운 분들의 경우, 변비가 있지 않으신 분이라면 설사를 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찬물 뿐만이 아니라 삼겹살, 밀가루 음식, 아이스크림 등등 차가운 성질의 음식을 드시면 설사를 하는 분들도 마찬가지로 장이 차가워졌기 때문입니다. 찬물을 마시면 코 점막도 두껍게 하고 음식물이 기도를 통과하기 더 어렵게 만든다는 연구 결과도 있습니다. 대신 뜨거운 물을 마시면 호흡에 도움을 줍니다.

 

또한, 차가운 물을 마시는 것이 편두통을 악화시키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식도이완불능증과 관련된 통증 또한 식사와 함께 찬 물을 마시면 더 악화될 수 있습니다. 따라서 공복에 찬물을 마시는 것은 위장과 신경계, 호흡계, 혈관계 등 여러 부위에 좋지 않은 영향을 줄 수 있습니다.

 

 

그렇다면 공복에 어떤 물을 마시는 것이 좋나요?

공복에 찬물보다는 따뜻한 물이나 미지근한 물을 마시는 것이 건강에 좋습니다. 따뜻한 물은 체온과 비슷하거나 조금 높은 온도로 몸을 따뜻하게 유지할 수 있습니다. 또한, 따뜻한 물은 위장관의 활동을 촉진시켜 소화를 돕고 변비를 예방할 수 있습니다. 따뜻한 물에 레몬이나 꿀을 넣어 마시면 해독과 면역력 강화에도 도움이 됩니다.

 

공복에 찬물을 마시는 것은 몸에 좋지 않은 영향을 줄 수 있으므로, 따뜻한 물이나 미지근한 물을 마시는 습관을 들이는 것이 건강에 유리합니다. 하루에 2리터 정도의 물을 섭취하면 신체의 수분 균형을 유지하고 다양한 질병을 예방할 수 있습니다.

 

지금까지 공복에 찬물을 마시면 안되는 이유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찬물보다는 따뜻한 물이 몸에 좋다는 것을 기억하고, 건강한 생활습관을 만들어가길 추천 드립니다.

 

 

물 한잔으로 바뀌는 몸과 마음, 물의 놀라운 효능

물은 인체의 70%를 차지하고 있을 정도로 신체의 다양한 기능에 필수적인 역할을 하는데요. 오늘은 물 한잔으로 바뀌는 몸과 마음, 물의 놀라운 효능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첫 번째, 물은 체

footballline01.tistory.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