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자동차

신형 그랜저 결함 13가지는?

그랜저는 1986년 최고급 세단으로 출시된 이후부터 대한민국 고급 세단의 명성을 이어오면서, 시대를 앞서가는 혁신을 통해 국내 자동차 시장을 선도해 온 현대자동차의 플래그십 세단입니다. 하지만 신형 그랜저는 최근 많은 결함들이 발생하면서 이러한 명성에 흠집을 내고 있는 듯하죠. 이번 포스팅에서는 신형 그랜저의 결함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논란이 되고 있는 신형 그랜저는?

디 올 뉴 그랜저(GN7)로 2022년 10월에 출시된 현대자동차의 대표적인 중상급 세단입니다. 하지만 출시 이후에 다양한 결함이 발견되어 리콜과 무상수리를 진행하고 있죠.

 

신형 그랜저의 주요 결함은?

  1. 시동 꺼짐 결함
    이 결함은 2.5 가솔린 모델에서 주행 중 D단에서 정차할 때 오토홀드를 사용하면 엔진의 RPM이 떨어져 시동이 꺼지는 현상입니다. 원인으로는 ECU(엔진 제어 장치)의 소프트웨어 오류로 인해 기본 RPM이 너무 낮게 설정되어 있었고, 겨울철 낮은 기온의 영향을 받아 시동이 꺼지는 것으로 추정됩니다.

  2. 엔진 경고등 점등 결함
    이 결함은 2022년 11월 28일부터 12월 22일까지 생산된 3.5 LPI 모델에서 발생한 것으로, 실제로는 엔진에 문제가 없지만 점등 조건이 민감하게 설정되어 엔진 경고등이 들어오는 현상입니다. 이는 엔진 제어 장치(ECU)의 소프트웨어 오류로 인한 것으로 판단되죠. 

  3. LED 드라이브 모듈 결함
    이 결함은 2022년 12월 6일부터 16일까지 생산된 그랜저 1,961대에서 발견된 것으로, 기온이 낮은 상황에서 차폭등을 포함해 일부 전등이 켜지지 않거나 LED 헤드램프의 밝기가 불규칙하게 변화하거나 꺼지는 현상입니다. 이는 LED 드라이브 모듈(LDM)의 생산 문제로 인한 것으로 판단됩니다.

  4. 타이어 공기압 주입기 결함
    이 결함은 2022년 11월 16일부터 2023년 1월 17일 사이에 제작된 그랜저 10,160대에서 발견된 것으로, 타이어 공기압 주입기(TMK)에 적용되는 실란트액이 누유될 가능성이 있습니다. 이는 타이어에 펑크가 발생했을 때 공기압을 주입하면서 펑크 부위를 막아주는 액체인데, 이 액체가 누출되면 타이어의 공기압 유지에 문제가 생길 수 있죠.

  5. 도어핸들 터치 센서 결함
    도어핸들 터치 센서는 문을 열고 닫을 때 손가락으로 터치하는 부분입니다. 전동 팝업 방식의 도어 그립 부분에 내부 로직 문제가 있어서 터치 센서 작동이 불안정하거나 작동하지 않아 문을 열고 닫을 수 없는 현상이죠.

  6. 배터리 제어 시스템 오류 결함
    하이브리드 모델에서 배터리 관리 시스템(BMS)의 오류로 인해 배터리 방전되는 현상으로 이 부분에 오류가 있으면 배터리가 간헐적으로 방전될 수 있습니다.

  7. 파워트렁크 / 파워테일게이트 작동 불량 결함
    차량의 트렁크 또는 테일게이트를 자동으로 열고 닫을 수 있는 기능인데 이 부분에 오류가 있으면 작동이 제대로 되지 않거나 반복적으로 열리고 닫히는 현상이 발생합니다.

  8. 메모리 시트 스위치 누락 결함
    운전석 메모리 시트 스위치가 장착되지 않은 차량이 확인되었는데 이 차량들은 시트의 위치를 조절할 수 없습니다.

  9. LED 구동 모듈 오류 결함
    LED 구동 모듈은 LED 램프의 밝기를 조절하고 제어하는 부품입니다. 이 부분이 오작동하면 LED 램프가 제대로 켜지지 않거나 깜빡거리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죠.

  10. 바디제어장치와 초음파 센서 간 통신 불량 결함
    바디제어장치는 차량의 도어, 윈도우, 라이트 등을 제어하는 부품이고, 초음파 센서는 차량의 주변을 감지하고 주차 거리 경고 기능을 제공하는 부품입니다. 이 두 부품 간에 통신이 잘 되지 않으면 주차 거리 경고 기능이 간헐적으로 작동하지 않을 수 있죠. 이로 인해 차량 후진 시 후방에 있는 물체와 충돌 사고가 발생할 가능성이 있습니다.

  11. D단에서 P단으로 변속 불가능 결함
    D단은 주행 모드, P단은 주차 모드를 의미합니다. 자동변속기는 버튼식이나 다이얼식으로 조작할 수 있죠. D단에서 P단으로 변속할 때 변속레버가 움직이지 않거나 강제로 움직여야 하는 현상입니다.

  12. 긴급 제동 오작동
    긴급 제동 오작동은 전방 충돌 방지 보조 기능 중 하나인 긴급제동 기능이 전방에 충돌 위험이 감지되지 않은 상태에서도 작동하는 오류입니다. 긴급제동은 차량이 급정거를 하기 때문에 차량 탑승객이 충격을 느끼거나 후방 차량과의 충돌 사고가 발생할 수 있죠.

  13. 내비게이션 꺼짐 현상
    내비게이션 화면 꺼짐 현상은 주행 중에 갑자기 내비게이션 화면이 멈추거나 꺼지는 오류입니다. 이 오류는 내비게이션의 전원 문제, 소프트웨어 오류, LCD 결함 등 여러 원인이 있을 수 있죠.

 

신형 그랜저의 결함은 위와 같이 다양하고 심각합니다. 또한 하이패스 카드 인식 오류, 주차거리 센서 먹통 등의 결함 소식도 조금씩 올라오는 것 같습니다. 그로 인해 현대자동차는 출시 전에 충분한 테스트와 검증을 하지 않았다는 비판을 받고 있는 상황이죠. 또한 리콜과 무상수리를 진행하면서도 소비자들의 불만과 불신을 완전히 해소하지 못하고 있는 것 같습니다.

 

신형 그랜저는 현대자동차의 대표적인 중상급 세단으로써 많은 기대와 관심을 받았지만 출시 이후에 연속적으로 발생하는 결함으로 인해 많은 소비자들의 신뢰를 잃어가는 듯합니다.

 

 

이상으로 신형 그랜저 GN7의 결함 13개를 정리해 보았습니다. 혹시 본인의 차량이 리콜 대상인지 확인하고 싶으시다면 국토교통부 자동차리콜센터에서 차량번호나 차대번호를 입력하여 조회하실 수 있습니다. 또한 현대자동차 공식 홈페이지나 블루링크 앱에서도 리콜 정보를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만약 리콜 대상이라면 가까운 현대자동차 직영센터나 블루핸즈에서 무상수리를 받으시기 바랍니다.

 

 

도요타 급발진 사고, 우주 방사선 때문일까?

최근 국내에서 급발진으로 의심되는 사고들이 적잖이 발생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급발진으로 판명된 사례는 많지 않은데요. 국내에서는 현행법상 소비자가 직접 결함이 발생했다는 사실을 입

footballline01.tistory.com

 

급발진 전조 증상이 나타나면 어떻게 대처해야 할까?

얼마 전 강릉에서 급발진으로 의심이 되는 사고가 발생하면서 함께 타고 있었던 손자가 하늘나라로 간 비극적인 사고가 있었습니다. 그 외에도 언론에서 노출되지 않지만 급발진으로 의심되는

footballline01.tistory.com